맞벌이 가정, 한부모 가정, 다자녀 가정이라면 ‘돌봄 공백’이 얼마나 큰 고민인지 공감하실 거예요. 복지로에서 운영하는 아이돌봄서비스는 그런 가정을 위한 대표적인 정부지원 돌봄 프로그램입니다.
특히 2025년부터 개선된 제도가 적용되면서 서비스 품질과 접근성이 더욱 높아졌는데요. 오늘은 아이돌봄서비스의 주요 내용, 신청 조건, 서비스 유형, 요금 체계까지 자세히 소개해드릴게요.

아이돌봄서비스란?
아이돌봄서비스는 만 12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전문 아이돌보미가 가정에 방문해 돌봄을 제공하는 정부지원 서비스입니다.
복지로를 통해 신청하며, 대상자 소득에 따라 비용 일부를 정부가 지원합니다.
이 서비스는 일시적인 긴급 돌봄부터, 정기적인 시간제 돌봄, 영아를 위한 종일제 돌봄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맞벌이, 취업 준비 중인 가정, 학업 중인 보호자 모두에게 꼭 필요한 제도입니다.
어떤 가정이 이용할 수 있을까?
아래와 같은 양육 공백 사유가 있는 경우 지원 대상이 됩니다:
- 맞벌이 가정
- 한부모·조손가정
- 장애부모 또는 장애아동을 둔 가정
- 다자녀 가정 (36개월 이하 포함 2명 이상, 또는 만 12세 이하 3명 이상)
- 다문화가정
- 보호자의 질병, 입원, 학업, 취업 준비 등으로 양육이 어려운 경우
또한,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산정되는 가구소득 구간에 따라 정부지원금 비율이 달라지며, 중위소득 150% 이하의 가구는 대부분 일정 수준 이상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서비스 유형
복지로 아이돌봄서비스는 크게 3가지로 나뉘며, 필요에 따라 선택 가능합니다.
1. 시간제 서비스
- 만 3개월 이상 ~ 만 12세 이하
- 하루 2~4시간, 일시적 또는 정기적 돌봄 가능
- 등·하원 도우미, 놀이활동, 간식 챙기기 등
2. 영아종일제
- 만 36개월 이하 영아 대상
- 하루 6~10시간 종일 돌봄 가능
- 수유, 이유식, 기저귀 교체 등 집중 육아 지원
3. 질병감염 아동 특별지원
- 등원·등교 불가한 아동에 대해 단기 돌봄 제공
- 감기, 장염 등 일반 질병에도 이용 가능
요금 체계와 정부지원
정부는 소득 수준에 따라 시간당 85~100%까지 돌봄료를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A형(중위소득 75% 이하)의 경우 시간당 본인부담금은 약 1,100원 정도로 매우 저렴합니다.

어떻게 신청하나요?
- 복지로(www.bokjiro.go.kr) 접속
- ‘아이돌봄서비스’ 메뉴 선택
- 아이 정보 및 가구원 소득 입력
- 필요서류 업로드 및 신청
또는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접수도 가능합니다.
결론: 꼭 필요한 가정을 위해 설계된 제도
아이돌봄서비스는 단순히 ‘아이를 맡기는 서비스’가 아닙니다.
보호자의 부담을 줄이고, 아이에게 질 높은 돌봄 환경을 제공하는 사회적 안전망입니다. 복지로를 통해 자신의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확인하고 신청해보세요.
특히 맞벌이 가정, 한부모 가정이라면 꼭 챙겨야 할 정부정책입니다.
다른 정보가 궁금하다면 메인 페이지로 이동하세요 ↑↑↑
댓글 테스트
테스트 감사합니다.